도에 넘는 정치 행위 비판받아 마땅
고려파(영어: Corea Church) 또는 고신파라는 이름은 잊혀진 이름이지만 그 출발은 한국장로교 첫번째 분열의 산물이다. 1884년 140년전 언더우드와 아펜셀라 선교사가 래한후 1893년 3월 1일 장로회선교사공의회가 조직되어 평양에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가 1901년 5월 15일 개교하고 1907년 9월 17일 조직된 조선예수교장로회 독노회 시대를 거쳐 1912년에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가 결성된다.
그러나 1932년부터 시작된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로 한국교회는 큰 시련을 당한다. 이로 인한 민족자주나 독립운동과 별개로 교회는 신사참배(천황이 있는 방향으로 경배) 강요로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일명 '평양신학교')가 1938년에 폐쇄되고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는 1938년 제27차 총회에서 자진하여 신사참배(우상숭배)를 가결하고 시행함으로써 역사적으로는 배교를 선언한 것이다.
그런 가운데 대표적으로 저항한 기록은 10월 24일 경남의 한상동 목사가 부산 초량교회(草梁敎會)에서 총독부는“정의 및 신의에 위반한 우상인 신사참배를 강요하니 오등은 굴하지 말고 이것에 절대로 참배해서는 못쓴다.”라는 설교를 했다. 이것이 훗날 한국교회의 역사적 신앙고백에 기초한 고려파의 시초가 된 것이다.
신사참배를 반대 혹은 거부한 이들은 일제하 감옥에도 갔다. 그리고 1945년 해방후 이들을 출옥성도라고 칭하였다. 한상동, 이기선 목사 등은 평양 산정현교회에서 한국교회 재건운동을 하면서 기존 신사참배를 찬성한 이들에 대하여 비판하며 모든 공직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한다. 1943년에 해체된 총회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참배혹은 중도파는 우리도 교회와 교인들을 지키느라고 고생했다는 식으로 항변하여 큰 논란이 된다.
순교자들 보다는 배교자들이 더 많았던 한국교회는 신사참배 문제를 놓고 고려파외에도 재건파,혁신복구파,순장파,다수파 등으로 나눠졌다. 신사참배파의 의인화로 인한 과도한 정죄와 교회와 교인들을 지키위해서 우리도 고생했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아 1946년 부산지역으로 남하한 한상동, 주남선, 박윤선 목사는 1946년 6월부터 진해를 중심으로 교회재건운동을 전개했다.
이 과정에서 해방이전부터 남아있던 채필근의 평양신학교(일명 채필근신학교)는 일제의 정책에 동조하여 제국주의 전쟁신학을 선전하고 보급할 목적으로 세워진 친일 신학교라는 오명을 받았다. 그러나 한상동 목사는 1938년에 폐교된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일명 평양신학교) 전통과 정신을 계승한다는 취지로 '고려신학교'를 설립했다.
![]() |
||
* 평양의 신사에 참배하는 장로교 총회 대표들 사진 |
그러나 1946년 일제치하 일본기독교 조선교단 경남교구장을 맡고 있던 친일파 목사인 김길창이 친일파 목사, 장로 세력의 지원으로 경남노회장으로 선출되자, 기존 노회의 고려신학교 학생 추천을 취소하기로 가결하는 사태가 난다. 이 일로 김길창과 친일파 세력이 주도하는 경남노회의 불법을 총회에 상소했으나 개선되지 않자, 새로 경남노회 (법통)을 결성한다. 그러자 총회는 경남노회를 불법조직으로 축출하여 제거한다.
이런 취급을 받는 경남노회는 2년 동안 해결을 위해 노력했지만, 무산되고 총회로부터 일방적 분리를 당한 이들이 경남노회를 중심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 고려파를 1952년 9월에 조직하게 되는 데 이것이 장로교단의 1차 분열이다. 그러나 고려파는 3차 분열인 1959년 '연동측' 통합과 '승동측' 합동이 갈등과정에서 대등한 조건으로 합동키로 합류하지만 ‘합동' 측이 독자적으로 나가 합동 3년 만에 고려파는 다시 고려파로 환원하는 데 당시 총회는 고려신학교를 폐쇄키로 한 것이 원인이었다.
고신파교회는 경남 부산등에 많이 있는 데 아무래도 초기 지도자들이 시무한 교회가 그 지역이기도 하였고 고신학원이 부산에 있기 때문이다. 이후 고신은 천안으로 학교를 이전하였고 이후 전국적으로 고신파 교회들이 생겨난다. 서울에서 유명한 곳은 석원태 목사가 시무했던 경향교회다. 고신파는 처음 부터 이런 순수하고 원칙적 신앙수호자로 1980년 부미방(부산미국문화원에 불)주인공이 바로 고신대 학생이었다.
이외에도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낸 이만열교수, 기윤실 손봉호교수는 대표적인 교려파 장로들이다. 이들외에도 숫적으로는 많치 않으나 복음주의 운동가들이 많이 나온다. 그 계기는 강남에 서울영동교회가 1976년 김경래 장로, 이재억 박사가 손봉호교수를 설교자로 시작된 후다. 이후 일원동교회, 박은조목사가 시무했던 샘물교회등으로 분가하는 데 모두 고신측 교회들로 이후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의 산파, 밀알선교단, 샘물호스피도 여기서 출발했다.
![]() |
||
2025 라이브 코리아로 등장한 고려파
그러나 고려파라는 말이 한국사회와 교회에서 다시 회자된 것은 작년 1027 광화문 집회를 선포한 손현보목사 때문이다. 그는 부산지역 고신소속의 작은 교회에 부임해 크게 부흥시키고 나름 이름을 떨치던 중 당시 대법원의 동성애자 의료보험 합법판결이 나자 반동성애운동을 기치로 주일 날임에도 한국교회 200만이 모이자는 슬로건을 내건다. 여기에 여의도 순복음의 이영훈목사와 사랑의교회 오정현목사, 거룩한빛광성교회 설립자 정성진목사등이 합류하게 되므로 언론의 큰 화제가 되지만 반대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이후 서울 광화문과 여의도에서 ‘탄핵 반대’ 집회가 주말마다 열리고 있었는 데 광화문에서는 전광훈(서울 사랑제일교회)이 여의도서는 손현보목사(부산 세계로교회)가 주도중이다. 이들은 집회중에도 성경을 읽고 찬송가를 부르고, 소리 높여 기도하고, 헌금도 걷는 다. 마치 장외에서 부흥회 같다. 그러나 내용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로 정치집회중이다.
그러나 기성교회의 교인들은 이 집회를 반대하고 “창피”해 한다. “차라리 ‘목사’라는 타이틀을 떼고 활동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기독교라는 말, 목사라는 말은 쓰지만 내용은 정치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자기 정치를 하면서 왜 기독교를 들먹이는지 모르겠다” 는 비판이다. 이렇게 정치목사들이 주도하는 집회로 인하여 국민은 구분없이 한국기독교가 왜 이러는 지 모르겠다는 비판이며 이들의 모습이 언론에 보도되고 해외에도 나가 한국 기독교를 ‘과잉 대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 |
||
길거리 목회로 재미보는 전광훈
전광훈은 오래전부터 ‘기독교의 정치세력화’를 꿈꾸어 왔으며 여러번 기독교 당을 만들어 기성정치권과 협력 혹은 독자적으로 해보지만 의회입성은 못했다. 이 과정에서 기성 정치권에서 버림받거나 소외된 이들이 종종 그를 찾아가 함께 하지만 이내 모두 떠났다. 전 총리 황교안이나 김문수도 그와 함께 한 적이 있다. 기성 정치인 못지않은 정치 선동으로 막말로 보수당에선 필요에 따라 따로 또 같이 가는 중이다.
문제는 전광훈은 극우이며 정신적 스승은 고 김홍도 목사(금란교회)라고 한다. 그는 보수가 아닌 극우로 같은 보수인 조갑제 대표등으로 부터더 외면받는 중이다. 그의 현실적 목표는 기독교를 앞세운 정치세력화인데 정작 어떤 정치인지는 불분명하다. 이승만을 국부로 박정희를 우상화하지만 그것만도 아니다 오히려 그 자신을 우상화하려는 경향이 더 있어 보인다는 비판도 있다.
한국교회언론회는 전광훈 목사를 향해 “일부 목회자의 영웅 심리에 의한 정치적 행위가 매우 우려스럽다”며 “세속권력과 교회는 건강한 긴장 관계를 가질 때 교회의 본질을 지키고, 교회의 순수성을 유지하고, 그 고유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전광훈이 기성 정치에 사심을 갖는 한 그는 목사라기 보다는 극우정치인이라고 볼 수 있다. 2016년 총선에서는 전 목사가 창당한 기독자유당이 62만표(득표율 2.63%)를 얻었다. 득표율이 3%가 넘었다면 비례대표 1석을 확보할 수도 있었다. 지난해 총선에서도 기독 정당인 자유통일당을 통해 원내 진출을 시도한 바 있다.
주류 기독교계는 최근에 벌어지는 ‘탄핵반대 광화문 집회’ 역시 전 목사가 갈구하는 권력욕 혹은 정치세력화의 연장선으로 보고 있다. 기독교 장로인 손봉호 고신대 석좌교수는 ‘종교의 정치세력화’를 강하게 비판했다. 손 교수는 “저는 평소 시민운동을 하는 사람은 절대 정치를 하지 말라고 했다. 그런데도 여러 사람이 시민운동을 정치를 위한 발판으로 썼다. 결국 시민운동이 대중의 신뢰와 영향력을 상실하고 말았다”며 “전광훈 목사도 마찬가지다. 그는 지금 정치 활동을 하고 있다. 정치를 위해 종교를 써먹고 있다. 정 그렇다면 목사 옷을 벗고 하면 된다. 종교의 정치세력화는 위험하기 짝이 없다”고 지적했다.
![]() |
||
* 고신교단 장로들 성명서 |
손현보 역시 인기병 목사
이에 비해 여의도서 모이는 손현보의 출발은 종교적ㆍ신앙적 성격이 강했는 데 손현보 목사는 부산 강서구 세계로교회 담임으로 출석 교인은 약 3500명이다. 소속 교단이 예장고신이다. 식민지 시절, 일제의 온갖 핍박에도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마지막까지 버틴 교단은 고신이 거의 유일하다. 그만큼 기독교의 순혈주의적 정서가 강하고, 성향도 아주 고지식하고 꼬장꼬장한 편이다. 손 목사 역시 그 연장선 상에 있다.
한국사 '일타강사' 전한길이 지난 8일 오후 대구 동구 동대구역 광장에서 열린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를 찾아 연설하고 있다. 중도 우파적 발언을 쏟아내는 전 강사가 결합하면서 손현보 목사가 이끄는 여의도 집회는 외연이 크게 확장됐다. 그의 기적 관심사는 ‘동성애 반대’와 ‘차별금지법 반대’다. 여의도의 1ㆍ2차 집회도 주로 이 문제를 다루었다. 이때만 해도 참여 인원은 적고, 언론의 관심도 크지 않았다. 기독교연합기관의 한 관계자는 “3차 집회부터 달라졌다. 세이브 코리아가 등장했다.
그런 가운데 손현보가 소속한 한국에서 가장 보수적이라는 고신교단의 일단의 장로들이 손현보목사의 이런 정치행위를 비판하는 성명서를 내서 화제다. 이들은 손목사가 "예배와 강단을 정치선동의 장으로 변질시켰다" 는 비판이다. 작년 1027 집회전후로 고신소속의 목사들이 손목사를 비판한적은 있으나 장로들이 나선 것은 처음이다. 보통 장로들 하면 보수적으로 웬만하면 교회 밖으로 목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 관례인데 오죽했으면 평신도들이 나섰겠냐는 비판이다
그러나 문제는 지교회에서 많은 신자들중 그 집회 참석은 안하지만 전광훈이나 손현보의 막말에 아멘이라는 분들이 적지 않다. 심지여 목사들 가운데서도 일찌기 태극기 부대에 합류 잠행하는 이들이 있다. 결국 한국교회는 이제 민족의 희망은 안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를 초월하는 게 신앙이고 유일신을 고백하는 게 우리 기독교의 가치이자 전통인데 이것은 배교행위이기 때문이다.
한국교회 가운데 우리교단이 그나마 가장 건전하고 크다는 것은 모두가 인정한다. 합동측도 비슷하지만 의식면에서는 보수적이다. 그러나 대표적인 기독교연합기관인 한국교회총연합(한교총)을 주도하며 36개 한국의 주요 주류 교단들과 함께 한다. 가입 교단들중 ‘탄핵 찬성' 은 기독교장로회 교단외에는 없지만 ‘탄핵 지지’를 표방한 곳은 없다. 한편 감리교 합동 통합은 대통령 탄핵심판을 놓고 찬성과 지지로 갈라진 민심을 우려하여 우리는 헌재 판결을 존중한다는 입장문을 공동으로 낸 바 있다.
그러나 이미 판결대로 헌법과 상식을 위반한 대통령을 동정하지도 옹호하지도 않는 정서다. 그러나 개인으로 들어가면 지지정당이 갈리는 등 이질적인 정치의식을 나타내고 있다. 과거에는 아무리 보수적인 분이라고 설교에서 정치 얘기는 금물이었다. 그런데 요즘은 지교회서나 신학교서도 정치언어로 심각하게 오염되여 있다. 여의도나 광화문은 기독교 집회가 아니라 기독교를 가장한 정치집회임이 분명하다.
![]() |
||
예장뉴스 보도부 ds2sgt@daum.net